佛敎用語
1. 佛敎의 목적 : 執着을 打破하고, 人格을 完成시키는 過程, 自己 스스로 眞理를 깨닫는 過程,
2. 불상에 절을 하는 행위(마음가짐) : 나를 존중하고, 다른 사람을 존중 해 가는 과정. 來生을 존중 하고 다른 사람의 생을 존중하려고 마음을 다 잡는 행위, 자신을 낮추는 행위
3. 삼신불(三身佛)
법신(法身) : 빛깔도 형상도 없는 부처 그 자체
화신 : 변화의 신, 부처의 또 다른 모습
보신 : 만덕이 편안한 인격체, 모나지 않는 사람
(1) 자수용신 : 자기만의 방법으로 터득한자, 남을 가르치지 않음
(2) 타수용신 : 설교로 중생을 제도 하는 자,
4. 三寶 (삼보)
불(佛) : 깨달은 자, 부처 자신, 가장 원만한 인격 불보 사찰 : 통도사
법(法) : 부처의 말씀 법보 사찰 : 해인사
승(僧) : 부처의 깨달음을 알아 가는 사람들, 부처의 제자 승보 사찰 : 송광사
5. 三界
욕계(欲界) : 욕심의 세계 , 애욕, 식욕, 성욕, 수면욕
색계( 色界) : 육체의 집착이 떨어지지 않는 유정계
무색계(無色界) : 육체를 떠나 정신적으로 사는 세계 , 그러나 절대 자유는 아니며,수명에 한계가 있는 세계,
중생계(衆生界) : 온갖 생각이 분주히 일어났다 사라지는 지대, 여러 세계를 떠돌아 다니는 영혼
6. 三毒 : 탐 ( 욕심 ), 진 (성냄) , 지 (어리석음 )
7. 四聖齊
고성제 : 인생은 괴로움으로 부터 시작 - 희로애락, 애불이고, 生
집성제 ; 집착 , 욕망, - 고통의 원인 病
멸성제 : 고통의 정지 老
도성제 : 욕망의 완전한 소멸, 열반의 방법 死
8. 八正道
正見 (바른 견해), 正思(바른 생각), 正語(바른 말씨), 正業(바른 행위)
正命(바른생활), 正道(바른길), 正念(바른 마음가짐), 正定(심신의 통일)
9. 오은
인간의 정신적 물질적 구성요소
1) 색은 : 인간의 육체를 구성하는 요소 - 地(흙), 水, 火, 風
2) 수은 : 인간의 감각작용 -색깔 , 소리, 냄새, 맛, 촉각
3) 상은 : 상상하는 마음
4) 행은 : 상상이 작용하여 인연에 의해 시간적으로 화합하는 정신작용- 희노애락, 분노, 욕심
5) 식은 : 사물을 구별하고, 판단하는 마음의 본체 - 직관
10. 불교 용어
慈悲 : 불교의 열반에 들어가기 위한 실천 수행방법
涅槃 : 불교의 궁극적인 목적
解脫 : 불교 수행의 최고 경지
因緣 : 원인 과 결과에 따른 전생에서 부터 이어져 오는 인간관계 --- 善사상
인과응보 : 금생의 악행은 후세에 벌을 받는 다는 법
무아 사상 : 모든 일체 만물은 고정된 불변이나, 영원한 실체가 없다. 는 사상
윤회 사상 : 육체는 없어지나, 정신은 돌아 다음 세계에 다른 육체 구성요소와 결합해 반드시 다시 태어난다는 사상
업 : 정신과 물질을 결합하는 힘, 인간이 행하는 모든 작용, 흔적
겁 : 이루 헤아릴 수 없이 긴 시간, 무한대 < - > 찰라 : 눈 깜짝 할 새
육도 : 지옥, 아귀, 축생계, 아수라, 인간계, 천상계 - 생을 평가하는 등급
여래 - 한결같은 의 뜻
세 존 - 온갖 공덕을 원만히 갖춘 사람을 호칭 통칭해 부르는 것
아미타불 : 극락세계의 부처, 과거의 부처,
미륵불 : 미래의 부처
관음보살 : 여러 사람의 소리를 듣고, 원하는 바를 들어 주는 보살
문수보살 : 지혜의 보살,
보현보살 : 중생의 계도가 주 임무,
지장보살 : 말법사상
선종 : 참선을 통해 깨달음을 추구
교종 : 교리를 통해 깨달음을 추구